top of page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약력
현) 이대목동병원 비뇨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전립선암센터장
전) 서울아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아산생명과학연구소장, 기획실장, 미국 DUKE 의대 비뇨의학과 연수
교수님 소개
국내 전립선암 최고 권위자
비뇨의학계 대통령
합병증 최소화, 국내 전립선암 로봇 수술의 장을 열며
전립선암 치료의 선진화를 이끈 김청수 교수
대한민국 의사들이 본인 가족이 비뇨기과 질환에 걸렸을 때
가장 맡기고 싶어하는 명의 김청수 교수는
불가능하다는 환자를 살린다는 '비뇨의학계 대통령'으로도 알려져 있다.
2010년부터 여러 비뇨기종양(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의 로봇 수술 집도를 시작해
한해 300여명의 환자를 로봇 수술을 통해 치료하며
현재 2,700례가 넘는 국내 최다 기록을 달성했다.
김청수 교수는 전립선암 치료 분야에서 가장 선진화된
임상·연구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 평가될 뿐 아니라
미국 오레건 보건과학대학교와 남성호르몬억제제를 활용한
전이성 전립선암 치료에 대한 논문을 의학 최고 학술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한 바 있다.
김청수 교수는 현재 국내 최초로 설립된 비뇨의학과 전문 기관
이대목동병원 전립선암센터에서 센터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국내 전립선암 치료
선진화의 장본인 김청수 교수
그에게 직접 듣는 전립선암 이야기

MD Interview
ABOUT 전립선암
ㅁ.
환자에 대한 정성이 유별나다는 목소리가 많은데, 수술 후 합병증 발생 국내 최저 타이틀과 연관이 있을까요?
ㅇ.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의학적 지식이 기본이겠지만, 진료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개인의 상태입니다. 환자와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수술이 아무리 늦게 끝나도 병실의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합니다.
의학적 지식과 그 지식을 환자에 맞게 잘 적용해서 진료하는 것이 합병증 확률을 낮추고 환자를 위하는 최상의 길이라 생각합니다.
환자들에게 어떤 의사로 기억 되고 싶은가?
ㅁ.
ㅇ.
전립선암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자부심을 갖고, 전립선암 환자분들이 제게 오셨을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그런 의사로 기억되기를 원합니다.
더 나아가서 전립선암 환자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해방이 되고 자기의 삶을 충분히 영위하면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그런 분들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전립선암 치료에 가장 좋은 수술법은 무엇일까요?
ㅁ.
ㅇ.
과거에는 개복에 의한 전립선 수술을 진행하였다면 현재는 로봇수술을 통한 수술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로봇수술의 장점은 전립선암에서 특히 빛을 발합니다. 골반 깊숙하게 있는 작은 조직인 전립선을 정교하게 절제하기 위해서는 로봇이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술 방식보다 수술 후 합병증 위험도가 낮아져 환자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환자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켜 주어 자기 삶을 영위하며 사회에 공헌하고 또 발전시킬 수 있는 구성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저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청수 교수
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 전립선암센터장
EXPERIENCE
2022.03~ 이대목동병원 비뇨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전립선암센터장
2011~2015 아산생과학연구원장
2009~2013 서울아산병원 울산의대 비뇨의학과 과장 및
주임 교수
2006~2008 서울아산병원 기획실장
1995~1996 미국 듀크의대 비뇨의학과 전임의 연수
1990~2022.02 서울아산병원 울산의대 비뇨의학과 교수
OTHER ACTIVITIES
대한의사협회
대한비뇨기과학회
대한비뇨기암학회
대한전립선학회
대한비뇨통합의학연구회 회장
아시아 태평양 전립선 학회 회장
아시아 태평양 비뇨기 종양 학회
GCP 교육
2019년 조사관 대상 GCP 교육
EDUCATION
~199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1987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취득
~198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MEDIA
Research and Publications
280편 이상의 논문발표
전립선 국제학술지 ‘Prostate International’가 SCI급 학술지로 등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