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02 bg.png
권석운 교수님 프로필 LOGO.png

혈액에 관한 모든 것, 혈액 분석의 대가

권석운 교수
현) 메디인 병원
전)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약력
​현) 메디인 병원
전)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혈액은행 담당 교수
     KMP HealthCare
     (주)씨젠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교환

     
교수님 소개
혈액 검사의 모든 것, 권석운 교수
​피검사를 통해 현재의 건강상태를 정밀 분석한다.
30년 넘게 피를 검사하고 연구해오고 있는 권석운 박사. 
그는 피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현재의 건강상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주는 ‘판정관’이다.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은 환자의 혈액, 골수, 혈장, 혈청, 소변 등
수많은 검체를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경과 확인 및 질병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이다

서울의대 출신인 권석운 박사는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에서
교환교수를 역임하였고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국제수혈학회, 미국혈액은행협회, 국제세포치료학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수혈학회 및 대한혈액학회 등 학회에서도 많은 활동을 했다. 
 

그는 초급성 거부반응을 일으켜 그동안 금기시 되었던 ABO 혈액형 부적합 장기이식을 
2009년 서울아산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성공적으로 시행하는데 일조하였다. 
그는 장기 공여자와 수혜자(환자) 간에 ABO 혈액형이 맞지 않은 경우에
초급성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ABO 혈액형 항체를 혈장교환술로 제거하여

거부반응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는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식팀과 함께 수많은 연구를 진행하며

이식 전후 전 과정을 면밀히 혈액검사로 추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내에 혈액형 부적합 이식의 초석이 세워졌고
말기 신부전 및 간부전 환자들에게 새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때에는 국내 코로나 진단키트 점유율 80% 및

1조 매출 진단 특화 기업으로 발전했던 바이오제약 기업 ㈜씨젠에서

임상연구소장으로 근무하며 감염병의 분자진단 분야에도

일조하는 등 의료기관을 넘어 기업에서도 역할을 했다. 

 

그는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고, 채혈기법에 대한 출판을 통해

진단검사의학에 선구자적 역할을 했을 뿐아니라
사람들이 무섭게만 느끼는 피가 우리 몸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를 대중에게 알리고자 다양한 집필 활동을 꾸준히 해오며

책을 통해 환자들의 의식 개선과 교육을 위한 많은 노력 또한 기울이고 있다.

'피를 통해 진단 패러다임 바꾼다'

권석운 교수

그에게 직접 듣는 진단검사 이야기

Examining Blood Sample
MD Interview
ABOUT 혈액 검사
ㅁ.
환자에 대한 정성이 유별나다는 목소리가 많은데, 수술 후 합병증 발생 국내 최저 타이틀과 연관이 있을까요?
ㅇ.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의학적 지식이 기본이겠지만, 진료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개인의 상태입니다. 환자와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수술이 아무리 늦게 끝나도 병실의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합니다.

의학적 지식과 그 지식을 환자에 맞게 잘 적용해서 진료하는 것이 합병증 확률을 낮추고 환자를 위하는 최상의 길이라 생각합니다.

 
환자들에게 어떤 의사로 기억 되고 싶은가?
ㅁ.
ㅇ.
전립선암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자부심을 갖고, 전립선암 환자분들이 제게 오셨을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그런 의사로 기억되기를 원합니다.

더 나아가서 전립선암 환자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해방이 되고 자기의 삶을 충분히 영위하면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그런 분들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전립선암 치료에 가장 좋은 수술법은 무엇일까요?
ㅁ.
ㅇ.
과거에는 개복에 의한 전립선 수술을 진행하였다면 현재는 로봇수술을 통한 수술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로봇수술의 장점은 전립선암에서 특히 빛을 발합니다. 골반 깊숙하게 있는 작은 조직인 전립선을 정교하게 절제하기 위해서는 로봇이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술 방식보다 수술 후 합병증 위험도가 낮아져 환자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권석운 교수 비티지_edited.jpg
피라는 말에서 공포 또는 죽음 등의 부정적인 느낌보다 
따뜻함, 사랑, 숭고함, 고마움, 휴머니즘 등의 
긍정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싶다.
권석운교수_edited.jpg
권석운 교수
메디안 병원 진단검사의학과
EXPERIENCE
서울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전공의, 전임의
미국 국립보건연구원 교환 교수
미국 하버드 의대 연계 병원 단기 연수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KMP HealthCare
(주) 씨젠 연구부문 전무
 
OTHER ACTIVITIES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수혈학회 및 대한혈액학회 편집이사
미국혈액은행협회
국제세포치료학회 
국제수혈학회
EDUCATION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전문의 취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MEDIA
Research and Publications
Rituximab와 혈장교환을 사용한 ABO 혈액형... 외 41편
bottom of page